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장품성분-세제 클렌징화장품
    예뻐지는 정보 2017. 7. 27. 13:31

    오늘은 합성세제의 유해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합성세제는 화장품인 클렌징 제품에도 해당이 됩니다. 합성세제는 환경호르몬 작용을 하는 여러 유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자의 성 조숙증과 생리불순 등과 남자의 정자수 감소와 같은 인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합성세제는 인체에 왜 해로운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합성세제는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가지 합성물질을 배합하기 때문에 물을 썩게 하는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합성세제는 다른 오염물질과는 달리 물 안에서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려우며 물 위에 햇빛과 산소를 차단하는 거품을 만들어서 플라크톤의 정상적인 번식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또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 첨가하는 여러 합성물질로 물을 썩게 만든다고 합니다. 이로써 합성세제는 우리의 강을 오염시켜 미생물이나 물고기가 살 수 없는 하천으로 만든다고 합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우리가 화장을하고 클렌징 화장품으로 씻어내면 물이 흘러가서 이렇게 죽음의 하천이 된 물이 물고기를 떼죽음시키게 만들고 정수장에 흘러모여와서 제대로 정화되지 않은채로 다시 우리의 식수가 되어 우리의 입으로, 몸으로 되돌아 오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합성세제는 합성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있는 세제를 말합니다. 합성계면활성제가 바로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화장품과 같은 것들에서 아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성분인 것입니다. 계면활성제란 친유성과 친수성으로 구성되어있는 물질입니다. 이것은 물에 용해가 되어 의류의 때를 빼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특히 씻어내는 클렌징 화장품에 들어간느 성분입니다. 계면활성제는 비누와 계면활성제로 나뉜다고 합니다. 이때 자연에서 얻은 오일 성분으로 만든 것을 비누라고 하며, 석유를 원료로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을 합성계면활성제라고 하는 것입니다. 화장품 클렌징 제품에 들어있는 합성계면활성제는 수질오염을 발생시키며 생물의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물질입니다. 바로 이 합성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있는 것이 합성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합성계면활성제는 피부의 장벽기능을 떨어뜨려 피부에 스며들게 쉽게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된 피부상태에서 합성세제를 계속 만지게 되면 합성세제는 분자크기가 작기때문에 피부의 피부막과 세포막 그리고 세포를 파괴한다고 합니다. 무서운 사실은 바로 이 합성세제가 침투하면 생분해 되지 않고 체내에 침투한 그대로 남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나 저가의 합성세제는 잘 흡수되고 잘 축적이되어 잠재적인 발암물질이 된다고 하며 아토피와 피부노화 그리고 피부염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설겆이를 할 때에 쓰는 주방세제의 경우에는 그릇에 남아있는 세제를 한 해에 소주잔 두 잔정도를 섭취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세탁을 하고 난뒤의 옷에 남은 세탁세제도 합성세제인데 이렇게 그릇과 옷에 잔류한 합성세제들은 피부는 물론이거니와 체내로 미량을 섭취하거나 하면 간장이나 비장 그리고 신장 등에 축적이 되어서 간기능의 저하나 세포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고 합니다. 일부 합성세제 성분은 발암물질로 분류되어서 식품첨가물로서 일체 사용이 금지된 물질도 있다고 합니다. 생쥐에게 합성세제를 섭취하게 하여 진행한 실험의 결과로 생쥐의 정자수가 급격한 수치로 감소를 나타내거나 파괴가 되어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유해한 합성세제를 쓰지 않기 위한 움직임이 최근에는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베이킹소다와 구연산을 찾는 분들도 많이 보이며 판매처도 예전보다 눈에띄게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Designed by Tistory.